본문 바로가기

야생동물

  • Honeybee 꿀벌

    IUCN 멸종위기 등급: 평가불가

    위협요인: 살충제, 서식지 손실, 기후변화

    서식지: 꽃이 풍부한 숲, 사막, 초원

    생태계 파수꾼 꿀벌

    꿀벌은 꿀벌과의 곤충으로 몸통에 황갈색 줄무늬, 작은 날개와 침이 특징입니다. 숲, 사막, 초원 등 세계 곳곳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여왕벌을 중심으로 집단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꿀벌과 말벌 등을 합쳐 전 세계에 약 2만 종의 벌이 있습니다.

    꿀벌의 먹이는 꿀과 꽃가루입니다. 꿀벌은 먹이를 채취하기 위해 꽃과 꽃 사이를 날아다니는데, 이 과정에서 꽃가루를 옮겨 식물이 열매를 맺게 합니다. 이때 꿀벌 몸에 있는 잔털은 꿀벌에 꿀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꽃가루를 쉽게 모으는 것을 도와줍니다. 꿀벌은 ‘춤’을 통해 다른 꿀벌과 의사소통을 하는데, 특히 꽃을 발견한 후 다른 꿀벌들에게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8자 모양 춤을 추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꿀벌이 중요한 이유

    꿀벌은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 작물 중 71종의 수분을 돕고 있기 때문이죠. 만약 꿀벌이 사라진다면 농산물 생산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식물을 먹이로 삼는 동물은 물론 인간도 식량부족을 겪게 됩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멸종할 것’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꿀벌은 생태계와 식량 체계에 필수적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꿀벌은 수천 종의 꽃이 씨앗을 맺을 수 있도록 해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유지를 돕고, 동시에 탄소를 저장하는 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게 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역할도 합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살충제 사용, 그리고 기후변화로 2만 종의 벌 가운데 8,000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사라지는 꿀벌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따르면 지난 25년간 야생 꿀벌 종의 25%가 감소했습니다. 한국에서도 꿀벌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데,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11월 국내에서 실종·폐사한 꿀벌은 78억 마리에 이릅니다.

    꿀벌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는 주범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가 꿀벌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유럽연합은 2018년부터, 미국은 2022년부터 해당 살충제 사용을 규제했습니다. 그 외에도 '바로아 응애(Varroa destructor)' 진드기와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 기후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연관되어 있어 원인을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꿀벌을 위한 WWF의 노력

    꿀벌 개체 수 감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럽과 북미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세계 각지의 고유한 상황과 잠재적인 원인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WWF는 한국에서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서울대학교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꿀벌이 본격적으로 채밀하러 나가는 봄철 미세먼지에 주목해, 대기오염이 꿀벌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총 2,500마리의 꿀벌에 무선주파수인식장치(RFID) 칩을 부착해서 서울과 제주 전역 꿀벌의 이동거리를 관측했습니다.

    그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편광된 태양빛의 강도를 감소시켜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약 2배 가까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동안 꿀벌은 더 많은 외부 위협 요인에 노출되고 결국 대기오염이 생애주기 단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WWF는 서울대학교와 꿀벌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며, 꿀벌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인식 개선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생태계 파수꾼 꿀벌

    꿀벌은 꿀벌과의 곤충으로 몸통에 황갈색 줄무늬, 작은 날개와 침이 특징입니다. 숲, 사막, 초원 등 세계 곳곳 다양한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여왕벌을 중심으로 집단을 이루고 생활합니다. 꿀벌과 말벌 등을 합쳐 전 세계에 약 2만 종의 벌이 있습니다.

    꿀벌의 먹이는 꿀과 꽃가루입니다. 꿀벌은 먹이를 채취하기 위해 꽃과 꽃 사이를 날아다니는데, 이 과정에서 꽃가루를 옮겨 식물이 열매를 맺게 합니다. 이때 꿀벌 몸에 있는 잔털은 꿀벌에 꿀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꽃가루를 쉽게 모으는 것을 도와줍니다. 꿀벌은 ‘춤’을 통해 다른 꿀벌과 의사소통을 하는데, 특히 꽃을 발견한 후 다른 꿀벌들에게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8자 모양 춤을 추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꿀벌이 중요한 이유

    꿀벌은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 작물 중 71종의 수분을 돕고 있기 때문이죠. 만약 꿀벌이 사라진다면 농산물 생산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식물을 먹이로 삼는 동물은 물론 인간도 식량부족을 겪게 됩니다.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멸종할 것’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꿀벌은 생태계와 식량 체계에 필수적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꿀벌은 수천 종의 꽃이 씨앗을 맺을 수 있도록 해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유지를 돕고, 동시에 탄소를 저장하는 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게 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역할도 합니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살충제 사용, 그리고 기후변화로 2만 종의 벌 가운데 8,000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사라지는 꿀벌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따르면 지난 25년간 야생 꿀벌 종의 25%가 감소했습니다. 한국에서도 꿀벌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는데,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11월 국내에서 실종·폐사한 꿀벌은 78억 마리에 이릅니다.

    꿀벌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꿀벌이 사라지는 주범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가 꿀벌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에 유럽연합은 2018년부터, 미국은 2022년부터 해당 살충제 사용을 규제했습니다. 그 외에도 '바로아 응애(Varroa destructor)' 진드기와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 기후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연관되어 있어 원인을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꿀벌을 위한 WWF의 노력

    꿀벌 개체 수 감소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럽과 북미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세계 각지의 고유한 상황과 잠재적인 원인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WWF는 한국에서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서울대학교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꿀벌이 본격적으로 채밀하러 나가는 봄철 미세먼지에 주목해, 대기오염이 꿀벌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총 2,500마리의 꿀벌에 무선주파수인식장치(RFID) 칩을 부착해서 서울과 제주 전역 꿀벌의 이동거리를 관측했습니다.

    그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편광된 태양빛의 강도를 감소시켜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이 약 2배 가까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동안 꿀벌은 더 많은 외부 위협 요인에 노출되고 결국 대기오염이 생애주기 단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WWF는 서울대학교와 꿀벌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며, 꿀벌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인식 개선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꿀벌에 대한 이야기

    꿀벌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꿀벌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