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인터뷰] “금융권, 기업의 ‘기후리스크’ 고려해서 투자해야”
24 Jul 2023

본문

정동림 WWF Korea 지속가능금융팀장


2021년 美 삼성공장 한파로 ‘셧다운’

경제성장·환경보호 두 토끼 잡을 때

지속가능 조직·기후리스크 지침 필요


“개인의 신용 정보를 확인한 뒤 대출이 이뤄지듯 금융 기관이 기업의 ‘기후 리스크’가 경영 실적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투자한다면 위험 관리가 더 수월해질 것이다.”


한국세계자연기금(WWF Korea)의 정동림 지속가능금융팀장은 이상기후로 인한 금융 위기인 ‘그린스완’이 찾아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 팀장은 지난달 28일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2021년 극심한 한파로 인해 미국 텍사스주의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생산이 중단된 게 대표적인 그린스완의 예라고 설명했다. 이상기후가 단순히 환경 변화를 넘어 기업의 경제 활동, 지역 사회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 사례라는 것이다.


71d74a5af39f0544ac35d098fa624744_1690183131_3649.jpg
©️서울경제 이재문 기자


정 팀장은 인간의 노력으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는 통상적으로 기후변화를 인간이 통제하기 어려운 천재지변으로 여겼지만 더 이상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인간이 야기한 변화인 만큼 인간의 노력으로 온도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기후위기에 대한 사회 인식 변화로 지속가능금융이 어떻게 이상기후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는 게 정 팀장 설명이다.


지속가능금융은 유엔이 2015년 수립한 2030년까지의 지속가능발전 목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및 상품을 의미한다. 사기업인 동시에 공공성을 강하게 갖고 있는 금융 기관이 환경 보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행하는 금융 활동을 일컫는다.


정 팀장에 따르면 지속가능금융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는 “국내 은행의 지속가능금융 수준을 처음 평가했던 2020년에는 (한국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들보다 평가가 낮았지만 2022년에는 높아졌다”고 전했다. 국내 금융 지주사들이 기후금융 대응을 늘린 덕이다. 실제로 금융지주들은 기업이 설정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승인하는 협의체인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s)’에 가입하는 등 기후금융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등은 SBTi에 가입한 상태다


이 같은 변화 뒤에는 정부의 노력도 컸다. 금융정책 당국은 2021년 녹색추진 태스크포스(TF)를 결성했다. TF가 발표한 녹색추진 계획안엔 기후대응기금을 마련하고 K택소노미, 녹색제품 가이드라인 등을 만들어 발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 들어 소실된 상태라는 게 정 팀장 지적이다. 그는 “(지속가능금융) 분야가 강화되고 활동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져야 함에도 업무 담당자가 줄어드는 등 모멘텀이 사라지는 게 아쉽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탄소중립산업법을 발표하며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속가능금융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달리 국내에선 이러한 움직임이 미비하다고 평가했다. 


경제 성장과 환경 보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건 지속가능금융이 직면한 또 다른 어려움이다. 정 팀장은 경제 성장과 환경 보전이 함께 가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반대로 금융 기관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갈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기업·금융권이) 눈을 가린 채 기후 리스크에 대출·투자를 하고 있다”며 “특정 기업이 환경과 경영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안다면 리스크 관리를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국내 지속가능금융은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정 팀장은 “지속가능금융을 일상적으로 가능케 하는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며 “단기간엔 어렵겠지만 지속가능금융 전담 조직과 기후 리스크 관리 지침을 만드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독일처럼 재생에너지가 많거나 프랑스처럼 원전을 완전히 가동하지 않기에 국내 특성을 고려한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문: 세계일보(바로가기 링크)

작성: 이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