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보도자료] WWF, '기후대응기금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14 Nov 2023

본문

121bcccec50614af9ac442b8c423d43c_1699947858_9009.jpg
 

• 불충분한 기금 규모·비효율적 사업구성·성과 관리체계 미흡 등 문제점 지적

• 체계적·효율적 기금 운용 위해 책임 있는 거버넌스 확립, 안정적인 재원 확보 등 필요


WWF(세계자연기금)는 기후대응기금의 개선 과제와 활성화 방안을 다룬 '기후대응기금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기후대응기금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에 근거해 2022년 처음 설립됐으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마련됐다. 올해 기후대응기금은 총 2조 4,914억 원 규모로 기획재정부가 기금 운용을 총괄한다.


보고서는 기후대응기금 운용의 문제점으로 지나치게 넓은 사업 범위와 수요 대비 불충분한 기금 규모, 비효율적 사업구성과 성과지표 관리체계 미흡 등을 꼽았다.


우선 탄소중립기본법 제69조에 따라 기후대응기금은 기후금융, 전환금융, 녹색 성장 촉진이라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고, 여러 부처의 각기 다른 사업이 혼재돼 기금의 목적과 취지가 모호해지고 성과 또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에 기간별 특화된 과제를 선별하고 기후 목표 달성과 관련한 사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기금 규모 면에서 그 규모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꼽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산업화 이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국내총생산(GDP)의 1.9% 이상의 공공투자가 필요하다고 전망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기준 0.1%에 불과했다. 이에 절대적인 규모를 확대하고 집중해야 할 사업 범위를 선정해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비효율적 사업 구성 및 성과지표 관리체계 미흡에 대해서는 기후대응 기금 집행이 1년이 아닌 다년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꾸고 기금 선정 기준과 평가지표에 대한 통합적 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체계적인 기금 운용을 위해서는 기금의 임팩트와 운용 성과를 책임질 수 있는 거버넌스 확립, 안정적인 재원 확보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유럽연합(EU)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기후위기 대응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공공기금의 조성과 기후금융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경제 환경에 적합한 기금 운용 방안 및 절차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개선안 도출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홍윤희 WWF-Korea 사무총장은 "이상기후로부터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해 기후대응기금과 같은 공공 전환금융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며 "공적자금이 민간자본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